728x90
안녕하세요.오늘은 증여세와 상속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증여세와 상속세의 주요 차이점
- 증여세와 상속세는 무상으로 재산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세금이지만, 과세 대상이나 과세 방식 등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2. 과세 대상 및 시기
*증여세*
- 생존한 사람 간 무상 재산 이전 시 발생
- 증여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
*상속세*
- 사망으로 인한 재산 이전 시 발생
- 상속개시일(사망일)로부터 6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
3. 과세 방식
*증여세*
- 유산취득세 방식: 각 수증자별로 증여받은 재산에 대해 과세
*상속세*
- 유산세 방식: 피상속인의 전체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과세
4. 주요 공제 제도
*증여세*
- 10년간 배우자 6억원, 직계비속 5,000만원(미성년자 2,000만원) 공제
*상속세*
- 기초공제 5억원
- 배우자 상속공제 최대 30억원
- 그 외 금융재산상속공제, 가업상속공제 등 다양한 공제 제도
5. 세율 구조
- 증여세와 상속세는 동일한 세율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
과세표준 |
세율
|
누진공제
|
1억원 이하
|
10%
|
-
|
5억원 이하
|
20%
|
1천만원
|
10억원 이하
|
30%
|
6천만원
|
30억원 이하
|
40%
|
1억 6천만원
|
30억원 초과
|
50%
|
4억 6천만원
|
6. 증여세와 상속세의 장단점
*증여세의 장점*
- 수증자별로 과세되어 분산 효과 가능
- 사전 증여로 미래 자산가치 상승분에 대한 과세 회피 가능
*상속세의 장점*
- 다양한 공제 제도로 큰 폭의 세액 감면 가능
7. 절세 전략
- 사전 증여를 통한 소득 귀속처 변경
- 증여재산공제 활용
- 상속공제 제도 적극 활용
- 가업상속공제 등 특수 공제 검토
증여세와 상속세는 단순 비교가 어렵습니다. 개인의 재산 규모, 가족 구성, 향후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방안을 선택해야 합니다.
728x90
'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부가가치세 감면 제도 주요 변경사항 알아보기 (2) | 2024.10.21 |
---|---|
부가가치세란? 개념과 정의,과세 방식,신고 및 납부 (3) | 2024.10.18 |
LTV, DTI, DSR의 차이점과 상세내용 알아보기 (0) | 2024.10.08 |
주택담보대출 관련 주요 규제와 용어 알아보기 (11) | 2024.10.08 |
주택청약통장 2024년 주요 변경사항 (2) | 2024.09.27 |